경제학 개론에서 국민경제 3요소는 가계, 기업, 정부를 말한다. 이들의 특징은 순환(Circolate)이다.
가계는 기업에게 노동,자본,토지를 제공하고 임금, 이자, 지대를 받는다. 그 돈으로 가계는 기업으로부터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고 대금을 지불한다. 가계와 기업은 정부에 세금을 내고 정부는 세금을 활용해서 공공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렇게 재화, 서비스와 돈은 순환한다.
블록체인에서 토크노믹스(Tokenomics)는 가상자산인 토큰(Token) 경제를 뜻하는 이코노믹스(Economics) 합성어다.
가상자산은 지불수단에 그치지 않고 교환과 거래가 일어나는 경제생태계의 근간이 된다는 의미를 가진다.
가상자산이 제대로 기능하려면 토크노믹스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상자산은 상장 후 거래소에 매각해 시세차익을 얻는 단순 투기용도로 사용될 수밖에 없다. 불행하게도 현재 진행 중인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토큰노믹스에 대한 이해 없이 무자비로 발행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유형은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첫째: 토큰을 사용할곳이 없다. 누군가에게 판매 공여된 토큰은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화폐의 근원적 가치인 교환매개로서의 기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통상 발행된 토큰은 사용처가 불분명하다.
글 쓰고 돈 버는 소셜미디어로 알려진 스팀잇(블록체인기반 돈 버는 블로그 알려짐)의 경우도 이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좋은 콘텐츠를 창작하고도 보상으로 받는 토큰을 소비할 곳이 없다면, 스팀잇의 토크노믹스는 영속성을 가질 수 없다.
두 번째: 생태계 내 토큰을 받을 주체만 있지 공급해 줄 참여자가 없는 경우다. 많은 프로젝트 들이 데이터제공, 콘텐츠창작, 컴퓨팅파워제공등 다양한 행위에 대해 토큰으로 보상할 것을 약속한다. 발행량은 한정되어 있는데 보상만 늘어나면 생태계에 토큰이 부족하다.
세 번째는 가상자산의 변동성이다.
토큰이 실질적으로 사용되려면 실제 재화, 서비스 이용에 쓸 수 있어야 한다. 네이버페이처럼 적어도 네이버 내에서 물건을 구매할 수 있어야 한다. 테더같이 현물에 연동시킨 스테이블코인(Stable Coin)이 있지만, 아직은 기술적 경험적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생태계의 순환이 자연스레 이루어지지 않으면, 토큰의 가치는 파괴된다.
확실한 토크노믹스 기반으로 가상자산을 발행하지 않으면 투자자에 대한 기망으로 경제적 손실까지 유발할수 있는 잠재적인 범죄 행위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